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등비수열
- 통계학
- 자료구조
- Machine Learning
- 등차수열
- 기계학습
- 스터디노트
- 머신러닝
- 파이썬
- numpy
- 재귀함수
- INSERT
- python
- maplotlib
- 문제풀이
- SQL
- 순열
- matplotlib
- plt
- pandas
- MacOS
- Slicing
- barh
- Folium
- 리스트
- 조합
- pandas 메소드
- pandas filter
- DataFrame
- tree.fit
- Today
- Total
목록파이썬 (36)
코딩하는 타코야끼

1. 알고리즘_5 [unit 19 ~ 24] 📍 근삿값 특정 값(참값)에 가장 가까운 값을 근삿값이라고 한다. import random nums = random.sample(range(0, 50), 20) print(f"nums : {nums}") input_num = int(input("input num: ")) print(f"input num: {input_num}") near_num = 0 min_num = 50 for n in nums: abs_num = abs(n - input_num) if abs_num >> nums : [15, 27, 0, 1, 32..

1. 알고리즘_1 ~ 2 [unit 1 ~ 9] 📍 선형 검색 선형으로 나열되어 있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스캔하면서 원하는 값을 찾는다. 검색 성공 or 검색 실패 datas = [3, 2, 5, 7, 9, 1, 0, 8, 6, 4] print(f"datas: {datas}") print(f"data length: {len(datas)}") user_n = int(input("찾으려는 숫자 입력: ")) search_result_idx = -1 n = 0 while True: if n == len(datas): search_result_idx = -1 break elif datas[n] == user_n: search_result_idx = n break n += 1 print(f"search resul..
1. 자료문풀_1 [unit 39 ~ 43] 📍 [연습문제] 리스트(01) # 1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숫자까지의 약수와 소수를 리스트에 각각 저장하고, 이것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자. num = int(input("1보다 큰 정수 입력: ")) list_a = [] list_b = [] for i in range(1, (num + 1)): if num == 1: list_a.append(i) else: if num % i == 0: list_a.append(i) for i in range(2, (num + 1)): flag = True for j in range(2, int(i**0.5) + 1): if i % j == 0: flag = False break if flag: list_b.appen..
1. 자료구조_5 ~ 6 [unit 23 ~ 26] 📍 튜플(Tuple) 리스트(List)와 비슷하지만 수정, 삭제 등 변경이 불가하다. ‘( )’를 이용해서 선언하고, 데이터 구분은 ‘ , ’를 이용한다. 숫자, 문자(열), 논리형 등 모든 기본 데이터를 같이 저장할 수 있다. 튜플도 리스트와 마찬가지로 value에 자동으로 부여되는 idx가 있다. 📍 튜플 길이 리스트와 마찬가지로, 튜플에 저장된 아이템 개수를 튜플 길이라고 한다. len( )과 반복문을 이용하면 튜플의 아이템 조회가 가능하다. 📍 튜플 결합 " + " 두 개의 튜플을 결합할 수 있다. 리스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extend( )함수를 튜플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 튜플 슬라이싱 리스트와 마찬가지로 [n:m]을 이용하면 리스트에서 ..

1. 자료구조_1 ~ 3 [unit 01 ~ 13] 📍 자료구조 여러 개의 데이터가 묶여있는 자료형을 컨테이너 자료형이라고 하고 이러한 컨테이너 자료형의 데이터 구조를 자료구조라고 한다. 자료구조는 각각의 컨테이너 자료형에 따라서 차이가 있으며, 파이썬의 대표적인 컨테이너 자료형으로는 리스트(List), 튜플(Tuple), 딕셔너리(Dic), 셋트(Set)가 있다 📍 리스트(List) 배열과 같이 여러 개의 데이터를 나열한 자료구조 ‘[ ]’를 이용해서 선언하고, 데이터 구분은 ‘ , ’를 이용한다. 숫자, 문자(열), 논리형 등 모든 기본데이터를 같이 저장할 수 있다. 리스트에 또 다른 컨테이너 자료형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 인덱스 인덱스란, 아이템에 자동으로 부여되는 번호표 리스트 아이템은 ..

1. 기초수학 문제풀이_1 [unit 31 ~ 35] 📍 [연습문제] 약수와 소수 100부터 1000사이의 난수에 대해서 약수, 소수, 그리고 소인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자. import random num_r = random.randint(100, 1000) num_y = [] # 약수 num_s = [] # 소수 num_sy = [] # 소인수 for i in range(1, (num_r + 1)): soinsu = 0 # 약수 if num_r % i == 0: num_y.append(i) soinsu += 1 # 소수 if i != 1: is_prime = True for num in range(2, int(i ** 0.5) + 1): if i % num == 0: is_prime = Fa..